주역 15

초간단 설시법(揲蓍法)

설시법(揲蓍法) 이란 고대인들이 점을 칠 떄 사용하던 방법은 크게 거북의 껍질이나 짐승의 뼈를 태워서 생긴 금의 모양을 보고 점을 친 점복법(占卜法)과 50개의 시초풀이나 나뭇가지를 둘로 갈라서 나오는 숫자를 참고해서 점을 친 설시법(揲蓍法)의 두 가지가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이 설시법(揲蓍法)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설시(揲蓍)에서 설(揲)은 숫자를 세다는 뜻이고 시(蓍)는 시초풀과 같은 가느다란 재료를 뜻합니다. 즉 시초풀이나 나뭇가지의 숫자를 세서 점을 친다는 뜻입니다. 지금 전해지는 설시법(揲蓍法)은 《역경(易經)》의 에 전해지고 있는데, 전한(前漢) 시대의 백서주역에서는 이 설시법(揲蓍法)과 관련된 부분은 빠져있습니다. 그리고 후한(後漢) 시대 왕충(王充)의 《논형·복서(論衡·卜筮)》..

주역 - 이론 2022.02.14

뇌산소과(雷山小過) 九二 : 過其祖 遇其妣 不及其君 遇其臣 无咎

https://youtu.be/2qROSRGH9vc 뇌산소과(雷山小過) 九二 : 過其祖 遇其妣 不及其君 遇其臣 无咎 뇌산소과(雷山小過)괘는 동주(東周) 초기 정장공(鄭莊公)과 그의 동생 공숙단(共叔段)의 이야기가 위주입니다. 그 과정에서 그들의 모친인 무강(武姜)의 이야기도 잠시 나오는데 주역의 효사 중 가장 해석이 난해한 문장 중 하나인 "과기조 우기비(過其祖 遇其妣)"가 바로 정장공과 그의 모친에 관한 황천견모(黃泉見母) 고사를 바탕으로 나온 것입니다. 한편 그 뒤에 나오는 "불급기군 우기신(不及其君 遇其臣)"은 정장공의 동생인 단(段)이 자객을 보내 정장공을 시해하려 했으나 신하의 도움으로 무탈하게 위기를 넘긴 일을 반영하고 있습니다. 1996년 드라마 東周列國 春秋篇2 중에서 공숙단이 보낸 자객이..

주역 - 효사 2021.12.28

주역(周易)에 담긴 동주(東周) 초기 이야기

“해와 달의 노래. 주역”의 두 번째와 세 번째 특징을 소개하는 홍보 동영상을 만들어 보았습니다. 주역(周易)의 기본적인 구조에 대한 해설과 함께 주역(周易)에 담긴 동주(東周) 초기의 역사 이야기를 통해 현재 전해지는 통행본 주역(周易)이 동주(東周) 초기에 완성된 것이라는 내용을 말하고 있습니다. 그 예로 뇌산소과(雷山小過)괘의 두 번째 효사인 “過其祖 遇其妣 不及其君 遇其臣 无咎.” 라는 문장이 동주(東周) 초기 정장공(鄭莊公)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보아야 제대로 해석이 가능하다는 것을 밝히고 있습니다. 이 문자에서 보통 조(祖)를 할아버지로 해석하고 비(妣)를 할머니로 해석하는데 이는 잘못된 해석입니다. 《설문(說文)》에서 조(祖)는 시묘(始廟, 조상을 모시는 사당)라고 하고 있고 비(妣)는 돌아가..

주역 - 이론 2021.12.16

"해와 달의 노래, 주역" 출판했습니다.

오랜기간 공들여온 제 책을 출판했습니다. 제목은 해와 달의 노래, 주역 4년전 처음으로 유튜브 동영상과 블로그 글을 올릴때 책이 거의 완성단계라 생각했는데 수정과 추가가 반복되다보니 어느새 4년이 더 넘어서야 책을 내게 되었습니다. 그동안 유튜브와 블로그에 자료도 별로 못 올렸는데 이제 다시 종종 자료들도 올릴 예정입니다. 아래 동영상은 제 책 홍보 동영상입니다. 다른 주역관련 서적에서 볼 수 없는 "해와 달의 노래, 주역"만의 특징들 중 하나를 먼저 소개하고 있습니다. 구(口)자의 갑골문과 정(丁)자의 갑골문이 어떻게 중(中)자의 갑골문으로 연결이 되고 그 안에 담긴 물과 관련된 철학이 무엇이며 그 물과 관련된 철학이 어떻게 주역과 음양오행에 똑같이 반영되는지 간략하게 소개하는 동영상입니다. 보다 자세..

주역 - 이론 2021.11.2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