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미지의 언어, 주역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해와달의 노래 1

초간단 설시법(揲蓍法)

설시법(揲蓍法) 이란 고대인들이 점을 칠 떄 사용하던 방법은 크게 거북의 껍질이나 짐승의 뼈를 태워서 생긴 금의 모양을 보고 점을 친 점복법(占卜法)과 50개의 시초풀이나 나뭇가지를 둘로 갈라서 나오는 숫자를 참고해서 점을 친 설시법(揲蓍法)의 두 가지가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이 설시법(揲蓍法)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설시(揲蓍)에서 설(揲)은 숫자를 세다는 뜻이고 시(蓍)는 시초풀과 같은 가느다란 재료를 뜻합니다. 즉 시초풀이나 나뭇가지의 숫자를 세서 점을 친다는 뜻입니다. 지금 전해지는 설시법(揲蓍法)은 《역경(易經)》의 에 전해지고 있는데, 전한(前漢) 시대의 백서주역에서는 이 설시법(揲蓍法)과 관련된 부분은 빠져있습니다. 그리고 후한(後漢) 시대 왕충(王充)의 《논형·복서(論衡·卜筮)》..

주역 - 이론 2022.02.14
이전
1
다음
더보기
프로필사진

이미지의 언어, 주역

  • 분류 전체보기 (24)
    • 주역 - 이론 (11)
    • 주역 - 효사 (4)
    • 한자와 갑골문 (8)
    • 영화, 문학 (1)

Tag

雷山小過, 중천건, 干支, 주역, 육십갑자, 甲骨文, 갑골문, 周易, 한자, 重天乾,

최근글과 인기글

  • 최근글
  • 인기글

최근댓글

공지사항

페이스북 트위터 플러그인

  • Facebook
  • Twitter

Archives

Calendar

«   2025/07   »
일 월 화 수 목 금 토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 31

방문자수Total

  • Today :
  • Yesterday :

Copyright © Kakao Corp. All rights reserved.

티스토리툴바